본문 바로가기
IT.아이폰.게임.어플

구글 애드센스 광고배치에 대한 권장사항.

by K_Blog 2017. 7. 21.
반응형


구글 애드센스 광고배치에 대한 권장사항 입니다.

애드센스 광고를 많이 삽입하면 좋겠지만, 너무 많이 삽입하면, 광고페이지 같은 느낌이 될수가 있기에

가급적이면 포스팅내에 3개까지만 광고를 게재하시면 좋습니다.

구글에서 알려주는 최적화 광고 도움말입니다.

광고를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이라면 꼭 이 페이지는 읽어보시고 시작을 하시는것이 좋습니다.

https://support.google.com/adsense/answer/1282097?hl=ko


사용자의 입장에서 생각하세요.

사이트의 콘텐츠를 논리적으로 구성하고 탐색하기 쉽게 만드세요.

광고 게재위치를 정할 때 아래 사항들을 확인해보세요.


사용자의 입장에서 생각하세요.

사이트의 콘텐츠를 논리적으로 구성하고 탐색하기 쉽게 만드세요. 광고 게재위치를 정할 때 아래 사항들을 확인해 보세요.


사이트를 방문하는 사용자의 행동

사용자가 특정 페이지를 볼 때 하는 행동

사용자가 주로 시선을 두는 위치

사용자를 방해하지 않고 이 위치에 광고를 게재하는 방법

깔끔하고 명료하며 사용자에게 호감을 줄 수 있는 페이지 구성

사용자의 입장에서 페이지와 광고 배치 구성을 바라보면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사용자는 원하는 내용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사이트를 자연스럽게 다시 방문합니다. 

또한 사용자가 보기 쉬운 광고 스타일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콘텐츠가 눈에 잘 띄도록 배치하세요.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콘텐츠 옆에 광고를 게재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사이트를 구성하세요. 

예를 들어 다운로드 기능을 제공하는 사이트라면 다운로드 링크를 찾기 쉽게 스크롤 없이 볼 수 있는 부분에 표시하세요.


콘텐츠와 광고의 균형을 유지하는 방법을 알아보려면 Google 애드센스 공식 블로그 블로그인 Content is king을 참조하세요. 

광고와 주변 콘텐츠를 구분하세요.

사이트와 어울리는 광고 색상을 선택하는 것은 좋지만 광고와 나란히 이미지를 배치하는 것은 피하고, 광고 형식과 동일한 콘텐츠는 광고 주변에 배치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광고를 이러한 방식으로 게재하는 것은 Google 프로그램 정책에 위배됩니다.


광고가 다른 요소로 보이지 않게 하세요.

광고를 '참고자료'로 표시하거나 사이트 제목 바로 아래에 광고를 배치하는 것이 좋겠다고 판단할 수 있지만, 

사용자에게 오해를 살 수 있는 라벨과 제목 사용은 피해야 합니다. 

광고 단위는 '광고' 또는 '스폰서 링크'로만 라벨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메뉴, 탐색 또는 다운로드 링크와 구분하기 어려운 위치에는 광고를 게재하지 마세요.


광고 수를 적절히 유지하세요.

페이지에 포함된 광고의 양이 콘텐츠의 양을 초과하지 않는 한 사이트의 각 페이지에는 광고 단위, 링크 단위, 또는 검색창 등을 다양하게 조합해 배치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가치 있는 인벤토리 정책을 참조하세요. 페이지 내에 광고를 너무 많이 배치하면 조잡하고 어수선한 인상을 줍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을 찾지 못하면 정보를 찾아 다른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를 검토하세요.

사이트를 상세히 점검해 처음 방문한 사용자가 사이트를 어떻게 사용하게 될지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사이트에서 템플릿 작성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 광고가 올바르게 나타나는지와 'Google 광고' 

또는 'AdChoices' 라벨이 제대로 보이는지 주의해서 확인해야 합니다.


사이트 레이아웃 작업이 끝나면 다음 두 질문에 답해보세요.

콘텐츠를 쉽게 찾을 수 있는가?

광고와 콘텐츠 간의 차이가 명확하여 쉽게 구분할 수 있는가?

두 질문 모두에 '예'라는 확신이 들면 문제가 없는 것입니다.




구글 애드센스 광고를 배치하기 전에 꼭 이 도움말 페이지를 읽어보시고 실행하시길 권해드립니다.

글 읽으시는데 그리 오랜 시간 걸리지 않습니다.

https://support.google.com/adsense/answer/1282097?hl=ko


- K story -

반응형

댓글